1. 사업자등록 하는법10 10) 통신판매업 신고란 무엇인가요? 인터넷 쇼핑몰을 보다보면, 홈페이지 하단에 통신판매업신고번호를 쉽게 볼수 있는데요. 통신판매업이란 인터넷상에서 상품을 팔수 있다는 허가증인데요. 인터넷상에서는 상품을 파는 사업자를 100% 신뢰할수 없기에, 구매자 보호를 위한 몇가지 장치를 마련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상에서 상품을 판매하고 싶으면, 홈페이지에 통신판매신고번호를 기재해야하고, 또한 에스크로 장치도 마련해야하는데요. (에스크로란,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후 상품을 받고나서 일정기간이 지난뒤에 사업자에게 상품대금이 넘어가게 되는것입니다.) 한마디로 인터넷으로 무언가를 판매할때는, 통신판매업 신고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통신판매업신고는 사업장 소재지 관할 시군구청 지역경제과에 신고하며, 필요준비물은 아래와 같아요. 1) 구매안전확인증 2) 사업자등록.. 2020. 6. 10. 9) 세금계산서 주고받는법 사업을 진행하다보면, 보통 물건을 구매하면서 세금계산서를 발급받게 됩니다. 내가 판매를 하면서,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줄수도 있고, 반대로 세금계산서를 발행받을수도 있습니다. 요즘은 대부분 전자세금계산서를 사용하기에, 오늘은 홈택스에서의 세금계산서 발행법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먼저 세금계산서는 누가 발급하게 되는지부터 알려드릴께요 공급자 - 재화나 용역을 공급(제공)하는 자 (매출) 공급받는자 - 재화나 용역을 공급 받는 자 (매입) 1. 공급자 (매출) - 돈 받고, 세금계산서 발행. a) 공급받는자에게 돈을 받아야 합니다. b) 공급받는자는 공급자에게 돈을 입금했는데, 이 부분을 비용으로 세금을 감면받고 싶어합니다. c) 그러면 공급자가 세금계산서를 발행해드려야 합니다. 2. 공급받는자 (매입) - 돈 .. 2020. 6. 9. 8) 개인인증서? 기업인증서? 범용인증서? 사업을 시작할때 헷갈리는 부분중에 하나가 '인증서'에 관련된 부분입니다 위는 은행에서 설명해주는 공인인증서 부분입니다. 사업자등록을 하면 뭔가 범용 공인인증서를 써야할것 같은, 생각이 들수도 있습니다 (필자가 처음 사업자등록할때 그랬습니다.ㅜㅜ 11만원주고 뭔가 정식으로 사업을 한다는 느낌을 받았거든요) 하지만, 범용 기업용 공인인증서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쓸 필요가 없습니다. 부업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직장인이라면, 거창하게 범용 공인인증서는 쓰지않고, '기업 전자세금용 공인인증서' (연 4,400원)만 사용해도 충분합니다. *법인기업이 아닌, 개인기업이라 가정했을때,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동일하다) 1. 입금, 출금등의 평소에 하던 계좌이체는 본인의 개인 공인인증서(무료)를 사용하면 되세요. 2. 홈.. 2020. 6. 2. 7) 사업자 등록하는법 - 온라인 (홈택스에서 하는법) 사업자 등록은 굳이 세무서를 찾아가지 않고, 온라인으로도 쉽게 할 수 있다. 오늘은 국세청 홈택스 ( https://hometax.go.kr/ )에서 사업자등록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한다. 공인인증서가 준비되었으면, 홈택스로 들어간다. 메인화면에서, 오른쪽 아래에서 '사업자등록'을 클릭하거나, 메뉴 맨위의 '신청/제출'을 클릭한다. 메뉴 맨위의 '신청/제출' 메뉴에서 '사업자등록신청(개인)을 클릭하면 된다. [개인사업자 사업자 신청이다] 그러면, 먼저 로그인을 하라고 하는데, 회원가입이 되어있다면, 회원 로그인을 하고, 비회면이라면 비회원 로그인을 하면 된다. 사업자 신청하는 메뉴인데, 상호명으로 본인이 생각하는 '회사명'을 적어둔다. 사업장 소재지는 본인의 집주소로 하거나.. 2020. 5. 22. 이전 1 2 3 다음